개발자 사카
InputField를 클릭했을 때 가상키보드가 올라오면서 하얀색 백그라운드가 올라온다. 여기서 문제는 저 하얀 백그라운드에 하얀색 글씨로 글이 써져서 내가 뭘 입력하는지 볼 수 없다는 점이다. 해결법은 간단하다. plugins/android/AndroidManifest.xml를 열고
유니티 2D도 3D처럼 라이트 효과를 줄 수 있다. 1. 새 Material을 만든다. 2. Material의 Inspector창에서 Shader부분을 Sprites/Diffuse 로 바꿔준다. 3. 자신이 라이트 효과를 주고 싶은 오브젝트에 방금 만든 Material을 넣어준다. 4. 라이트 넣어주면 끝! 뭐 일반적으로 불이나 무언가 정적으로 있는 혹은, 탑뷰로 보여지는 그림들은 딱히 고민하지 않아도 되지만 횡스크롤로 움직이는 캐릭터에게 라이트를 넣어주다가 한가지 문제에 직면했다. 우선 텍스쳐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스프라이트만 가지고 왼쪽으로 움직이는 것도 같이 구현했다. 그냥 간단하게 Y축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하지만 캐릭터에 라이트를 넣어줄 시 오른쪽에서는 ..
유니티에서 안드로이드 빌드를 하다가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콘솔에서 확인해보니 다음과 같은 이유로 빌드에 실패했다고 뜬다. "trouble writing output: Too many field references to fit in one dex file: 90410; max is 65536.You may try using multi-dex. If multi-dex is enabled then the list of classes for the main dex list is too large." 하나의 dex 파일에 참조가 너무 많아서 생기는 버그였다.(최대 65536).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multi-dex' 를 사용하라고 한다. 원인을 찾아보니 한 프로젝트 안에 너무 많은 플러그인을 넣은 것..